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아달라·역겨운 문자 보내기도” 박원순 성폭력 사건 피해자 책 썼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자신이 입은 피해 사실과 사건을 공개한 후 겪은 2차 가해를 직접 ..

시사窓/정치

by dobioi 2022. 1. 20. 22:49

본문

반응형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 더불어민주당은 박원순에 대한 입장이 상식적이지 않다. 피해자 입장이기만 해서도 아니지만 가해자 입장에서만 서 있다면 그건 공정하다 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옳다.

 

놀랍기만 한 박원순의 성범죄와 그걸 옹호하고 나서는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을 보면 역겹다. 몹시 불쾌할 수 밖에 없다.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보면 정상적인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2차 폭력적인 사람, 정당의 지지자라고밖에 볼수 없다.

 

죽은 사람을 옹호하기만 해야 하는 것인가? 피해자를 도와주고, 걱정해줘야하는가? 피해자가 가만히 있자니, 이런 상황이 더 화가 난 것이겠고, 이런 문화가, 정치환경이 얼마나 더럽게 느껴지겠는가!

 

 

 

“안아달라·역겨운 문자 보내기도” 박원순 성폭력 사건 피해자 책 썼다

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자신이 입은 피해 사실과 사건을 공개한 후 겪은 2차 가해를 직접 기록한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가 출간된다. 출판사 천년의상…

www.donga.com

“안아달라·역겨운 문자 보내기도” 박원순 성폭력 사건 피해자 책 썼다

 

동아닷컴

입력 2022-01-20 15:41:00

업데이트 2022-01-20 15:49:05

 

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자신이 입은 피해 사실과 사건을 공개한 후 겪은 2차 가해를 직접 기록한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가 출간된다.

728x90

출판사 천년의상상은 20일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가 출간된다고 밝혔다. 저자인 김잔디 씨(가명)는 자신이 입은 피해 내용, 고소에 이르게 된 과정, 박 전 시장 죽음 이후에 끊임없이 자행된 2차 가해의 실상과 그로 인한 상처를 극복한 과정 등 사건 이후 생존의 기록을 담았다.

 

이번 책에서 김 씨는 2020년 4월 서울시청 직원 회식 자리에서 동료 직원으로부터 불의의 성폭행을 당한 뒤 서울시의 미온적인 대처에 4년간 박 전 시장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성적 괴롭힘을 당한 트라우마를 다시 깨닫고 이 사건을 세상에 꺼내기로 결심한 과정을 털어놓는다.

김 씨는 “오랜 시간 지속된 박원순 시장의 성적 괴롭힘으로 인한 트라우마가 성폭행 사건으로 곪아 터진 것”이라며 “나는 죽고 싶었지만, 죽기를 결심했기에 그 죽을 각오로, 죽을 때까지는 내가 할 수 있는 한 내가 입었던 피해에 대해 바로 잡아야 죽는 순간에라도 마음이 놓일 것 같았다”고 말했다.

 

박 전 시장과의 성적 괴롭힘에 대해 김 씨는 “내실에서 둘이 있을 때 소원을 들어달라며 안아달라고 부탁하고, 성행위를 적나라하게 묘사하는 문자를 보냈다”며 “누가 봐도 끔직하고 역겨운 문자를 수도 없이 보냈다”고 썼다.

SMALL

이어 “그와 나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했을 때 법 앞의 평등이라는 원칙 아래 나의 안전이 보호받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사법 절차뿐이라고 생각했고 고소를 결심했다”고 했다.

 

김 씨는 박 전 시장의 사망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피해호소인’이라고 자신을 지칭하고 2차 가해까지 겪게 되는 상황을 적으며 “모두 이성을 잃은 것 같았다. 사실을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고 믿고 싶은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들과 싸우는 일은 너무나 힘겨웠다”고 했다.

김 씨는 “이 책을 통해 한 명의 존엄한 인간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인간에게는 누구나 ‘잊혀질 권리’라는 것이 존재한다”며 “특별히 성폭력 사건 피해자에게 있어 ‘잊혀질 권리’는 더욱 간절한 소망일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제게는 잊혀질 권리보다 ‘제대로 기억될 권리’가 먼저 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제대로 기억돼야, 제대로 잊혀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출판사 측은 “이념적 지형에 따라 적대적으로 갈린 양대 정치 집단의 이해관계에 어떤 식으로든 사용되거나 복무 되는 것을 거부한다”며 “2022년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 사회의 전 구성원에게 우리가 지키고 마땅히 가꿔나가야 할 공동체의 정의와 윤리적 가능성을 묻는 불편하지만 피해서는 안 될 유효한 질의서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