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젊다고 막 퍼주네 윤석열표 청년도약계좌 벌써 시끌 윤석열 당선인 청년 금융복지 공약文 희망적금보다 가입범위 넓어 퍼주기식 금융 지원책 지양해야

시사窓/정치

by dobioi 2022. 3. 14. 09:41

본문

반응형

젊은이들이 살아가기에 너무 힘든 상황인 것은 누구나 알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이미 젊은 시절을 다 보내고, 안정적인 위치에 있으면 생각은 좀 달라지겠지만, 게다가 혹독하게 살고 있는 나이는 갓 지났지만 형편은 어려운 젊은이들에게 상대평가로 맘 상하는 일이 벌어지면 좋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힘든 시절을 보내는 이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불편등해보일 수도 있고, 오히려 불평등을 양상한다고도 생각될 수 있어서 조심스럽지 않은가 싶다.

 

너무나 어려웠던 시절을 보낸 중년들은 이런 정책이 필요한지, 왜 그래야 하는지, 퍼주기 같아서 안타까워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시절이 과거와는 상당히 다르다는 것도 인정해야 한다.

728x90

부모의 마음으로, 관점으로 보면 세상이 좀 달라보인다. 어떻게 자녀들이 세파를 헤치고 살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차원에서 제대로 된 적절한 정책으로 청년들의 미래를 보장해주거나, 희망을 불어넣어줘서 결실까지 만들게 해준다면 얼마나 고마워하며 잘 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정당을 구분하지 말고 추진해줬으면 좋겠다. 미래가 암울한 자녀들의 미래를 좀 밝혀줄 수 있다면 좋겠다.

 

‘젊다고 막 퍼주네’ 윤석열표 청년도약계좌 벌써 ‘시끌’

 

 

‘젊다고 막 퍼주네’ 윤석열표 청년도약계좌 벌써 ‘시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주요 청년 금융복지 공약으로 내세운 ‘청년도약계좌’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세대별 형평성 문제부터 예산 부족, 실효성 여부

m.kmib.co.kr

‘젊다고 막 퍼주네’ 윤석열표 청년도약계좌 벌써 ‘시끌’

윤석열 당선인 청년 금융복지 공약

文 ‘희망적금’보다 가입범위 넓어

‘퍼주기식 금융 지원책’ 지양해야

입력 2022-03-14 00:0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주요 청년 금융복지 공약으로 내세운 ‘청년도약계좌’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세대별 형평성 문제부터 예산 부족, 실효성 여부 등을 두고 제도 도입 전부터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13일 윤 당선인 공약을 담은 국민의힘 정책공약집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는 윤 당선인의 주요 정책 금융 상품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근로자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저축 계좌를 가리킨다. 월 7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금리 연 3.5%를 제공한다. 여기에 정부지원금 10만~40만원을 더해 10년 후 1억원의 자산을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예산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문재인정부에서 만든 청년금융상품인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청년 금융 지원책이지만 가입 범위는 훨씬 넓다. 청년희망적금은 연 소득 3600만원 이하만 가입 가능한 반면 윤 당선인의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제한이 없다. 2400만원, 4800만원을 기점으로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 등이 갈리긴 하지만 구체적인 가입 제한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20~34세 취업자는 지난해 7월 기준 630만명에 달한다. 이들이 모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월 10만원의 지원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최소 7조56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10년 만기를 채우는 인원에 따라 들어가는 예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예산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형평성 논란도 가열될 수 있다. 이미 지난 1월 문재인정부가 청년희망적금 출시를 예고했을 때부터 “세금은 우리가 내고 혜택은 청년들에게만 돌아간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이번엔 지원 범위와 금액도 크게 늘어나는 만큼 특정 세대에 국한된 정책을 놓고 불만이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문재인정부 때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했던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문제도 개선 과제로 꼽힌다. 현재 윤 당선인 측에선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방안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경우 이미 2년간 1조4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운영 중인 청년희망적금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를 선별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방안을 도입할 경우 선별 기준을 놓고 공정성 시비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권 일각에선 새로운 청년 금융 지원책 탓에 행정력이나 예산이 낭비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선거 기간에 무분별하게 쏟아진 ‘퍼주기식 금융 지원책’은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정책 금융상품은 정부와 시중은행 간 협의를 거쳐 판매되는 만큼 그 부담은 정부와 은행권이 공동으로 지게 된다. 시중은행 일각에선 “정부가 금융정책을 내놓으며 생색을 내고 기업이 금전적 부담을 지게 하는 ‘낡은 복지’는 재고해야 한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김지훈 기자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