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색차량기지 이전 검토 이어 또… 은평차고지개발, 고양시 강력반발 도시 경계지 개발문제 갈등 촉발 일방적 계획 고양시민 무시 개발편익 서울, 기피시설 고양 DMC호반베르디움은 호제

시사窓/사회

by dobioi 2021. 2. 18. 22:07

본문

반응형

고양시민이 되어보니, 지역 뉴스가 크롬에, 구글에 뜬다. 은평차고지 덕에 버스타기가 나쁘지 않은데 이전 계획 있나보다.

수색차량기지도 이동이 되고, 도로나 부대시설로 바뀐다면 참좋겠다.

수색교가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왕래하는 차량들 정체가 장난 아니다. 만일 복개를 하거나, 수색교 다리를 확장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가양대교도 너무 좁다. 나들목?이 너무 협소하다. 왜 도로를 이따위로 만들었나 싶을 정도로 정체가 심하다.

월드컵대교가 얼른 개통되어야할텐데, 2021년도에는 완공되길 바란다.

 

좋은 뉴스인 거 같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2711 

 

수색차량기지 이전 검토 이어 또… 은평차고지개발, 고양시 강력반발 - 고양신문

고양 향동지구와 접한 은평차고지도시 경계지 개발문제 갈등 촉발이재준 “일방적 계획 고양시민 무시”개발편익은 서울, 기피시설은 고양[고양신문] 도시 경계지역에 대한 개발문제로 고양시

www.mygoyang.com

수색차량기지 이전 검토 이어 또… 은평차고지개발, 고양시 강력반발

 

도시 경계지 개발문제 갈등 촉발

▲ 서울시 은평공영차고지는 고양 향동주택지구와 맞닿아 있는 도시 경계지역이다.


고양 향동지구와 접한 은평차고지
도시 경계지 개발문제 갈등 촉발
이재준 “일방적 계획 고양시민 무시”
개발편익은 서울, 기피시설은 고양

[고양신문] 도시 경계지역에 대한 개발문제로 고양시와 서울시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15일 고양시와의 경계지역인 은평차고지 일대(16만㎡)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하자, 고양시는 하루 뒤 서울시의 일방적인 개발계획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서울시는 은평차고지를 “상암DMC와 고양향동지구를 연계한 산업지원 공간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고양시는 이곳에 “주거시설이 대거 들어올 것이 염려된다”며 도시숲 조성을 희망하고 있다.

16일 고양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장 선거를 눈앞에 두고 생뚱맞게 고양시 경계지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고양시민을 기만하는 행위에 가깝다”며 “다수의 서울시 기피시설이 고양시에 설치‧운영 중인 상황에서 고양시민들의 민원을 해결해주지는 못할망정 오히려 개발편익만 취하려 한다”고 서울시 도시계획을 강하게 비판했다. 
 

수색차량기지 이전 검토에 이어 또…

앞서 지난해 말 서울시가 수색차량기지 일대를 개발하기 위해 철도 기지창을 은평차고지 맞은편 고양시 땅(덕은동)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고양시는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도 서울시가 은평차고지를 개발하겠다며 용역착수를 위한 입찰공고를 일방적으로 발표하자 고양시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이번에 논란이 된 은평차고지는 고양시 향동지구 초입에 위치해 관할 자체가 사실상 고양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철도기지창은 고양시 땅으로 옮기자고 하고 자신들 땅엔 고급 아파트를 짓겠다는 계획은 어불성설”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도시연담화’ 방지 노력 없는 서울시

고양시 입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도시계획의 기본인 연담화 방지를 위한 서울시의 노력이 전혀 없다는 점과 경계지역 도시계획에 대한 도시 간 상호 균형성이 상실됐다는 점이다. ‘도시연담화’란 중심도시가 팽창해 주변 중소도시의 시가지와 서로 달라붙어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 경계지역 개발을 자제하고 녹지를 조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서울시는 이러한 노력 대다수를 고양시에 떠넘기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의 절반가량인 119.26㎢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인 것도 사실상 서울시를 위한 녹지제공의 일환”이라며 “고양시가 더 이상 서울시를 위해 희생당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재준 시장은 지난 1월에도 서울시장 후보들의 부동산 공약을 비판하면서 “개발 편익은 서울시가 챙기고 고통은 고양시가 떠안고 있다”며 “서울시 정책은 더 이상 서울시만의 것이 아니며, 인접 도시와 상생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에 자리한 난지물재생센터. 이곳은 고양시 행정구역 내 서울시 소유의 대표적인 기피시설이다.


기피시설 해결, 철도직결 모두 외면

지금도 서울시는 고양시 내 대표적인 서울시 기피시설 중 하나인 서대문구 음식폐기물 처리시설을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재가동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고양시가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고양선~서부선 직결’, ‘제2자유로 합정방면 BRT(간선급행버스) 구축’ 등에 대해서는 검토조차 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이달 9일에는 더 이상 경기‧인천까지 철도 직결연장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 상생협력의 정신을 스스로 위반하고 있다는 것이 고양시의 입장이다.

이재준 시장은 “이러한 기만행위가 지속될 경우 고양시 내에 있는 서울시 기피시설의 용도를 공원 등으로 변경 지정함은 물론, 사용기한 연장 제한과 철거까지도 실행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서울시를 압박했다.

이어 이 시장은 “차고지 일대는 면적이라고 해야 5만 평으로 가로세로 400m의 땅이다. 단순한 주거위주의 개발계획 보다는 도시 연담화 방지를 위한 시민 숲공원으로 지정하길 원한다”며 “서울시가 추진하는 개발계획 용역에 고양시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