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동해·일본해 표기 논쟁, 11월 국제수로기구서 ‘숫자 표기’로 결론 날듯, 공동병기 실패, 구글지도는 아직 일본해

시사窓/국제

by dobioi 2020. 9. 22. 07:38

본문

반응형

그간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하지만 향후 검색 우위를 점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건데, 그렇다면 이제부타 시작이다.

 

지금은 일본보다 우위인 징점이 많다.

이 여세를 몰아서 일본해는 쑥 들어가게 만들면 될 일이다.

아직도 구글 지도는 일본해로 표기되어있다. 먼저 구글부터 구워삶아야할 일이겠다.

 

국력을 키워야 해결될 일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검색하는 곳에만 동해로 되어있고, 다른 경로로 검색하면 일본해로 바뀐다. 여론 무마용이라 볼 수 있는 꼼수 대응이다.

 

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00921/103038917/1

 

동해·일본해 표기 논쟁, 11월 국제수로기구서 ‘숫자 표기’로 결론 날듯

국제 해양 명칭의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수로기구(IHO)가 공식 책자에 그동안 동해 명칭으로 표기해오던 일본해 대신 고유의 ‘식별 번호’를 부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IHO …

www.donga.com

동해·일본해 표기 논쟁, 11월 국제수로기구서 ‘숫자 표기’로 결론 날듯

 


국제 해양 명칭의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수로기구(IHO)가 공식 책자에 그동안 동해 명칭으로 표기해오던 일본해 대신 고유의 ‘식별 번호’를 부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IHO 책자에 ‘일본해’뿐 아니라 ‘동해’를 함께 병기해야 한다는 외교전을 벌여왔다. ‘공동 병기’라는 당초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지만 해도 등 각종 지도에서 ‘일본해’를 단독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일본의 논리를 반박할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IHO 책자를 근거로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의 정당성을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IHO는 각종 해도 제작의 지침이 되는 국제 표준 해도집인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개정판에 동해를 ‘식별 번호(universal numerical identifier)’로 표기하는 방안을 최근 한일 양국에 제안했다. IHO 사무총장은 11월 화상으로 개최될 제2차 총회에 이 내용이 담긴 협의 결과를 브리핑 할 예정이다. 정부는 IHO 회원국들이 높은 지지를 보여 해당 안건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HO는 일제강점기인 1929년 ‘일본해’가 단독으로 병기된 S-23을 발간했다. 이런 병기 방식은 2판(1937년)과 3판(1953년)에서 별도의 수정 없이 이어졌다. 뒤늦게 이에 대한 문제를 인식한 정부는 1997년부터 국제사회에서 S-23에 동해가 공동으로 병기돼야 한다는 외교전을 시작했다. 2002년에는 동해 표기를 위한 IHO 회원국들 간 이견이 해결되지 않아 그해 나온 4판에 동해 부분이 백지로 남았다. 한일 간 갈등이 좀처럼 봉합돼지 않자 지난해 남북과 미국 일본 영국 5개국이 두 차례 비공식 협의를 가졌고 동해도 일본해도 아닌 식별번호를 기재하는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IHO는 ‘디지털 해도 시대’의 시작을 식별 번호를 도입하는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동해 표기를 둘러싼 한일 간 오랜 분쟁을 마무리짓기 위해 개정판에서 바다 이름을 모두 빼기로 한 것이다.

 

외교 당국은 ‘일본해가 국제적으로 확립된 유일한 명칭’이라는 일본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가장 핵심적인 근거가 S-23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별 번호가 사용된 S-23개정판의 발간이 일본의 주장을 뒤집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본의 주장과 달리 ‘일본해 단독 병기’가 시대에 뒤떨어진 관습이라는 논리로 국제사회를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민간 지도 제작사들에 대한 한국의 ‘동해 병기’ 외교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초 목표였던 ‘동해 병기’를 이루지 못한 것은 국제사회에서 여전한 일본의 영향력을 넘어서지 못한 방증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식별번호를 도입한 새로운 해도집이 나온다 해도 일본해가 표기된 기존 S-23이 바로 폐기되는 것은 아니라는 일본의 입장도 반영됐다는 것이다. 한 소식통은 “IHOD 입장에서는 일본의 입김도 무시할 수 없다. 한일 가운데 한 쪽 편만 들어줄 수 없는 IHO가 고민 끝에 타협점을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