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삼성 애플 유럽 이번엔 탈착형 배터리 압박 유럽의회 친환경 배터리 의무화 법안 논의 환경 소비자 편의 제고 위한 탈착형 배터리 의무화 스마트폰 충전단자 C타입 강제 배터리도 관여 촉각

시사窓/경제

by dobioi 2022. 12. 23. 13:22

본문

반응형

개인적으로는 핸드폰이 떨어지거나 물에 빠질 잉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배터리 탈착형이 아닌 스마트폰을 쓰는 것이 불편하다. 그나마 옛날에는 교체하면 됐기 때문에 나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길다고 생각되고, 스마트폰도 나름 오래 사용할 수 있었다 기억한다.

 

무엇보가도 편리했었다. 안심했었다. 그런데 요즘처럼 배터리가 순식간에 닳아버리는 일이 지주 반복되면서 영 불편함을 피할 수 없었다.

 

그런데, 유럽의 규제는 환영할만 하다. 제조사는 불편할지 몰라도 사용자의 기준으로 보자면, 왜 그런 결정을 했는지 궁금할 정도다. 그리고 어차피 보안 유지는 필요한 이들에게나 소용이 있지, 일반 소비자, 사용자는 아무런 관심도 없다 . 통화 잘되고, 인터넷 잘되고, 영상이 끊기지만 않으면 만족이다.

 

그런 만족을 위해 제조사가 애 써야지, 누가 그럴 수 있나? 그러지 않으면 레고 블럭처럼 조립해서 자신에게 맞는 폰을 제작해서 써야하지 않을까?

 

뭔가 획기적인 세상이 오기 전까지 제조사의 특수를 잘 누리려면, 주도면밀하게 움직여주길 바랄 따름이다.

 

 

삼성,애플 어쩌나..유럽, 이번엔 탈착형 배터리 압박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21 15:47

수정 2022.12.22 15:24

 

관련종목▶

삼성전자(005930),삼성전자우(005935)

 

유럽의회, '친환경 배터리' 의무화 법안 논의

동시에 환경·소비자 편의 제고 위한

탈착형 배터리 의무화도 논의 테이블 올라

스마트폰 충전단자 C타입 강제 이어

배터리도 관여할지 촉각

통과 시 제조사 전략 변경·비용 부담 불가피

 

탈착형 배터리. GSM아레나 캡처

 

탈착형 배터리. 더드로이드가이 캡처

 

[파이낸셜뉴스] 유럽연합(EU)이 친환경 정책 일환으로 배터리 탈착형 스마트폰 판매 의무화를 재추진하면서 삼성전자, 애플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스마트폰 제조사 입장에선 제품 디자인을 바꾸고, 제조공정도 다각화해야 하는 등 생산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에 익숙한 소비자들 사이에서 혼란도 불거질 전망이다.

 

EU. 샘모바일 캡처

 

■EU, '탈착형 배터리 의무화' 재추진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EU는 지속가능하고 재활용 가능한 배터리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법안 논의에 착수했다. 해당 법안은 부품 추출부터 생산, 처분 등 전체 배터리 생애주기에 대한 법안으로 전자기기·산업용 배터리·자동차 배터리 등 유럽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형태의 배터리에 적용되게 된다.

 

EU는 해당 법안에 탈부착 배터리 의무화를 시사하는 내용도을 함께 포함한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제조사는 배터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를 디자인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EU는 교체형 배터리 정책을 실행하면 배터리와 디바이스의 수명을 늘려 소비자 편의는 제고하는 한편, 배터리 문제로 인한 수리 빈도·비용과 전자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EU는 2년 전에도 스마트폰 수명 연장, 전자 폐기물 감축 등을 이유로 탈부착 배터리 스마트폰 의무화법을 한차례 추진한 바 있지만, 당시에는 입법 문턱을 넘지 못했다. 다만 현재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유럽에선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최근 스마트폰 충전 단자를 C타입으로 통일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애플은 내년 아이폰15 시리즈부터 유럽에선 C타입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XDA, 샘모바일 캡처

 

■통과시, 제조사 전략·비용 변화 불가피

해당 법안 통과 시 삼성전자, 애플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에게도 비용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스마트폰 기종 중 탈착형 배터리 설계 기반으로 공급되는 모델이 극히 일부다. 따라서 법안이 통과되면 스마트폰 설계를 크게 바꾸고 공정 라인업을 이분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4년 갤럭시S5까지 탈착형 배터리 설계를 적용하다 2015년 갤럭시S6부터 배터리 일체형을 채택했다. 탈착형 배터리 탑재 의무화가 시행될 경우, 바(bar)형뿐 아니라 폴더블폰의 디자인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의 경우, 모든 아이폰 시리즈가 일체형이다. 법안 통과가 애플에 더 치명적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300x250

한편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 방수·방진 등 일체형의 장점을 선호하는 소비자 층도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조사 입장에선 라인업 추가 또는 다원화, 설비 전환, 스마트폰 설계 변경 등 추가적인 비용이 더 들어갈 것"이라면서도 "슬림한 디자인, 보다 강력한 내구성 등 일체형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도 있기 때문에 배터리 탈착형으로 일원화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말했다.

 

김준혁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212211440048184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